마이데이터(MyData)란?
구매 또는 대출 기록, 신용도 등의 형태로 저장되는 데이터, 즉 개인정보들은 개인이 기업 서비스를 이용할 때, 기업이 개인에게 광고나 마케팅을 할 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의 데이터 3법은 개인의 금융 데이터를 안전하게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해왔기 때문에, 보호에 치중된 만큼 데이터의 활용도는 매우 낮았습니다. 기업마다 개인의 데이터를 따로 보유하기 때문에, 개인이 다양한 기업을 이용할 경우 정보가 여기저기에 뿌려지게 되면서 개인 스스로가 이를 관리하기도, 기업이 이를 이용하기도 힘들어졌습니다. 또한, 이용자가 많은 기업일수록 정보력의 차이가 나게 되고, 시장 독점의 형태가 구성되어 갈수록 데이터를 활용한 기술적 측면이 발전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마이데이터가 등장했습니다.마이데이터는 정보주체가 개인데이터에 대한 열람, 제공 범위, 접근 승인 등을 직접 결정함으로써 개인의 정보 활용 권한을 보장, 데이터 주권을 확립하는 패러다임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의 효율적인 본인정보 관리와 활용을 전문적으로 지원하는 산업이 마이데이터 산업의 목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마이데이터는 기관 및 기업에 위임하였던 개인정보 처리 권한을 주인인 나에게 되돌려주어, 정보의 주체가 되는 개인이 본인의 데이터를 다룰 수 있게 됩니다. 개인이 기관 및 기업으로부터 개인데이터를 직접 내려받아 제 3자에게 선별적으로 공유하거나 내가 원하는 서비스 기업에 개인데이터 이동을 요구할 수 있게 됩니다.(개인정보 자기결정권 행사) 이로 인해, 개인은 이용 요금을 절약할 수 있으며, 흩어져있는 개인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관이나 기업이 보유한 내 데이터를 직접 요구하고 범위를 결정하여 마이데이터를 내려받아 필요한 곳에 사용하여, 나에게 꼭 맞는 서비스를 누릴 수 있게 됩니다. 예를 들면, 나와 비슷한 수입 규모를 가진 사람들 중에서 어떤 카드가 잘 나가고, 어떤 카드가 혜택이 많은지 여러 은행사/카드사의 카드를 비교하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이렇듯, 정보 주체의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 보관, 활용하기 위해선 더욱 강화된 보안이 요구됩니다. 위탁사업자가 보유하고 있는 개인정보를 잘 관리하는 것 뿐만아니라 이전 기관에서 보유했던 데이터가 완전히 삭제되었는지를 입증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마이데이터 서비스 사업자는 개인정보 유출 대응책, 시스템의 물리적 안정성 확보, 개인정보 암호화, 통신구간 암호화, 침입 탐지/차단 솔루션, 이상징후 탐지 시스템 등을 갖추어 정보 주체의 데이터 이용 안전에 만전을 기해야 합니다.
출처
https://m.blog.naver.com/skinfosec2000/221958231504
www.kdata.or.kr/busi/busi_05_01_01.html
library.gabia.com/contents/infrahosting/9142/
news.joins.com/article/23822735
'보안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리덴셜 스터핑(Credential Stuffing) (0) | 2021.04.09 |
---|---|
클라우드 보안(Cloud Security) (0) | 2021.04.07 |
UTM(통합 위협 관리 시스템, Unified Threat Management) (0) | 2021.04.04 |
NAC(Network Access Control) (0) | 2021.04.03 |
DoS Attack(서비스 거부 공격) (0) | 2021.04.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