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서울 지하철 정기권으로 교통비 절약하기(자주 묻는 질문 정리)
본문 바로가기
자료공유

서울 지하철 정기권으로 교통비 절약하기(자주 묻는 질문 정리)

by 사월섬 2021. 12. 8.
반응형

 

오늘은 서울에서 지하철로 통근하시는 분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꿀팁인

 "지하철 정기권"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보겠다.

지하철 정기권을 구입하는 방법부터 자주 묻는 질문들, 사용할 때 주의해야할 내용까지 한번에 정리해보겠습니다!


서울 지하철 정기권 혜택

서울 지하철 정기권은 서울 시내 지하철 구간에서

원하는 거리의 정기권 운임을 충전하여 사용하는 선불카드이다.

정기권카드를 구입한 후, 원하는 종류의 정기권을 충전하면

충전일로부터 30일이내 60회까지 사용할 수 있다!

정기권 종류는 (1)서울전용(2)거리비례용이 있다.

1. 서울전용 지하철 정기권

서울전용 정기권은 운임비용이 55,000원이다.

교통카드 기본운임 비용 기준 44회를 이용할 수 있는 비용으로 지하철을 60회 탈 수 있다!

서울전용 지하철 정기권은 저렴한 대신 사용할 수 있는 구간이 한정되어 있다.

서울시 이외의 역에서는 승차가 불가능하니,

서울에서만 지하철을 이용하시는 분들에게 적합한 정기권이다.

(서울 이외의 지역에서 하차는 가능하나, 추가로 승차 횟수가 소요된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2. 거리비례용 지하철 정기권(14종)

거리비례용 정기권은 운임비용이 이용구간별 14단계로 나뉘어져있다.

종별 교통카드운임비 x 44회의 15% 할인된 금액으로 정기권 운임비용이 결정되며,

운임비가 1,250~1,450원 구간은 1,250원으로 적용된다.

거리비례용 정기권은 서울뿐만 아니라

수도권전철 전 구간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경기권에서 서울로 출퇴근하거나 수도권 내의 지하철을 이용하는 경우에 적합한 정기권이다.

 

정기권 카드 구입 및 충전하는 방법

정기권은 지하철역 및 전철역 역무실에서 2,500원을 지불하여 구입할 수 있고,

지하철 역의 발매기에서 정기권을 충전할 수 있다.(발매기에서는 카드 발급 불가능)

카드 구입과 충전은 모두 현금으로만 가능하다!

서울전용 정기권을 선택할 경우 55,000원을 넣으면 충전되고,

거리비례용 정기권을 선택할 경우에는 이용구간을 선택한 후, 단계에 맞춰 금액을 충전하면 된다.

거리비례용 정기권 요금은 "서울교통공사 사이버스테이션"에서 간단하게 계산해볼 수 있다!

인천~강남구청 : 거리비례용 6단계

 

 

 

자주 묻는 질문 정리

Q.

저는 지하철과 버스를 환승해서 사용하는데, 정기권으로도 버스 환승이 되는가?

A.

버스 환승은 되지 않는다.

버스 환승을 자주 이용한다면 , 지하철 정기권 비용에 버스 비용이 추가로 들기 때문에 오히려 낭비가 될 수 있다.

Q.

충전일로부터 30일이 넘었는데 아직 60회를 사용하지 못했는데, 다음 달로 이월 가능한가?

A.

30일이 경과하였거나 60회를 모두 사용한 경우, 기간이나 횟수가 남아있더라도 사용이 불가능하다.

30일이 되기 전에 60회를 다 소진했다면, 추가로 충전해 사용할 수 있다.

 

Q.

정기권 카드 반환하고 싶습니다.

A.

반환 시에는 잔여일수와 잔여횟수를 적용해, 산출한 금액 중 적은 금액으로 반환된다.(불량카드는 사용횟수 적용)

또한, 카드 판매대금은 반환되지 않는다.(단, 최초 구입 후 1년 이내에 발생한 불량카드는 판매대금 반환)

Q.

서울전용 정기권을 구매했는데 서울 외 지역을 갈 때도 사용할 수 있는가?

A.

사용 가능하다!

다만, 지정된 사용구간이 초과될 시에는 잔여횟수에서 추가로 차감된다.

단계별 운임적용 거리(서울시계 경계역으로부터 서울시계외 방향으로 20km까지)마다 1회로 계산된다.

꼭 기억해야하는 것은, 서울전용 정기권은

서울 외의 지역에서는 승차가 불가능하다는 점!(하차만 가능)


정리하자면,

지하철만을 이용하고, 월 44회 이상 지하철을 이용하시는 분들이

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본인의 사용 횟수나 주요 이용구간을 고려해 계산해본 후,

알뜰한 소비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